안녕하세요. 시골 섬에 살고있는 시골썸입니다. 최근에 금값이 다시 무섭게 상승을 하고 있는데요. 그래서 그런지 많은 분들이 금 투자 방법에 관심을 가지시는 것 같아요. 그래서 오늘은 KRX 금 현물, 금 ETF, 금통장, 금은방 금 현물 투자 등 다양한 금 투자 방법을 알아보고 각 투자의 장단점을 파악해보는 시간을 갖도록 할게요.
아! 참고로 지금 이렇게 금값이 상승하고 있는 이유는, 미국이 코로나19로 침체된 경기를 부양하기 위해서 양적완화를 해서 달러의 가치가 떨어졌기 때문인데요. 달러의 가치가 하락하면 시장은 안전자산인 금의 보유를 늘리려고 하기 때문에 역사적으로 항상 달러 인덱스와 금값은 반비례 관계를 유지했답니다.
※ 달러인덱스 : 경제 규모가 크고 통화가치가 안정적인 6개국 통화(유럽 유로, 일본 엔, 영국 파운드, 캐나다 달러, 스웨덴 크로나, 스위스 프랑)를 기준으로 산정한 미국 달러화 가치를 지수화 한 것. 1973년 3월 미국 달러화의 가치를 100이란 기준점으로 둠. 2020년 8월 26일 현재 달러 인덱스는 93 임.
잡설이 너무 길었네요. 지금부터 본격적으로 금 투자 방법을 알아보도록 할게요.

1. 다양한 금 투자 방법 알아보기

금에 투자를 하는 방법은 크게 금 현물에 투자하는 방법과 금 선물에 투자하는 방법이 있는데요. 저는 이것을 네 가지 방법으로 분류를 해서 정리를 해보았어요. 각 금투자방법 별로 장단점이 있긴 하지만, 결론부터 말하자면 KRX 금 현물 투자가 가장 좋은 방법이에요. 그래도 각 금 투자 방법 별로 장단점을 설명드려볼게요.
가. 금 현물 : 금은방 등에서 골드바를 구입하는 방법인데요. 이 방법은 자신이 어둠의 경로로 재산을 축척해야 하는 경우가 아니라면 일반적인 투자로는 추천드리지 않는 방법이에요. 골드바를 구입하려면 일단 부가세와 수수료 등을 합쳐서 최소 15%는 선 지불하고 시작하기 때문에 금 값이 15% 상승이 돼야 본전이기 때문이에요. 물론 관상용과 투자를 겸해서 생각하시는 분들은 논외로 할게요. 그리고 또 집에 골드바가 하나 있으면 든든하겠죠? 막말로 전쟁이 나도 내가 골드바를 잘만 보관하면 내 재산을 지킬 수 있는 것이니깐요. 그런 의미에서 세계 경제의 위기가 오면 금값이 상승하는 것이죠.
나. 금통장 : 금통장은 2014년 KRX금시장이 개설되기 전에 사람들이 많이 하던 금 투자 방법인데요. 금을 은행 고시 가격대로 0.01g씩 소액으로 은행의 금통장에 저축을 할 수 있는 그런 방법이죠. 수수료(스프레드)는 살 때와 팔 때 각각 1%이고, 금값이 상승해서 매매차익이 생겼다면 매매차익의 15.4%를 배당소득세를 내야 해요. 그리고 금통장에 있는 금을 실물로 인출할 수도 있는데요. 이경우는 금은방에서 골드바를 구입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수수료와 부가세를 합쳐 약 15%를 지불해야 하죠. 참고로 금통장은 시중은행 2개사인 국민은행과 기업은행에서 만들 수 있답니다.
다. 금 ETF : 금 ETF는 금 선물지수를 추종하는 상장지수 펀드인데요. 금 ETF는 주식시장에서 자유롭게 사고팔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서 지금도 많은 사람들이 거래를 하고 있답니다. 다만 금 ETF 운용 수수료가 1년에 약 0.6~1%로 ETF 치고는 높다는 단점이 있어요. 그리고 매매차익에 대한 배당소득세 15.4%를 내야 하고 실물 인출은 불가능하죠. 그리고 금 현물 가격을 추종하는 것이 아니라 금 선물 가격을 추종하기 때문에 콘탱고 상황에서는 롤오버 비용이 발생할 수도 있죠. 이 롤오버 비용을 설명하려면 글이 굉장히 길어지니 제가 예전에 선물 롤오버에 대해 써놓은 글을 링크로 남겨놓을게요. 더 자세히 알고 싶으신 분들은 아래의 링크를 참고해주세요.
원유 선물 ETF 투자 완전 정복 #2(롤오버, 콘탱고, 백워데이션)
2. KRX 금 현물 투자란?
라. KRX 금 현물 투자 : 거래 수수료도 약 0.3% 내외로 가장 싸고, 매매차익에 대한 세금도 없고, 실물 인출도 가능하고, 실물 인출 수수료도 가장 싼 금투자방법이 바로 KRX 금 현물 투자인데요. KRX시장에서 금현물이 거래되기 시작한 시기가 2014년으로 약 6년 정도 밖에 되지 않아서 보통 금통장은 알아도 KRX 금투자방법은 모르는 분들이 굉장히 많은 것 같아요. 아무튼 금 투자를 생각하고 계신분들은 무조건 KRX 금현물 투자로 해주세요. 무조건 좋아요.

KRX란 한국거래소의 약자인데요. KRX금시장은 금융위원회에서 승인을 받아 한국거래소에서 운영하는 것이기 때문에 우리나라가 망하지 않는 이상은 내가 매수한 금이 사라지거나 하는 위험은 없어요. 대략적인 거래 프로세스는 위의 그림과 같은데요. 금 수입업자나 금 생산업자, 금 유통업자가 증권사를 통해서 매도 주문을 넣게 되면 한국 조폐공사에서 업자의 골드바 품질을 검증하게 되고 이상이 없다면 한국예탁결제원에 골드바 실물을 예치시켜 놓게 돼요. 그후 금 투자를 원하는 투자자들이 증권사를 통해서 매수를 하게 되면, 한국예탁결제원에 예치되어 있는 골드바의 소유가 투자자로 바뀌게 됨과 동시에 돈은 금 업자에게 돌아가게 되는 것이죠.
그리고 KRX금현물 시장에서는 금을 주식시장에서 주식을 거래하듯이 자유롭게 거래할 수 있어요. 그래서 금을 실물로 인출하지 않고 다른 투자자들에게 팔 수 있음은 당연하고요. KRX금현물 시장에서 금을 사거나 팔면 한국예탁결제원에 보관되어 있는 골드바 소유자의 이름만 바뀔 뿐이니깐요. 또한 필요하면 언제든 금 실물을 인출할 수 있어요. 물론 이 경우는 부가세 10%와 골드바 1개당 20,000원의 수수료가 들긴 하죠.
3. KRX 금 현물 투자방법 알아보기

KRX금현물 시장에서 금을 투자하기 위해서는 증권사에서 금현물 거래계좌를 만들어야 해요. 그런데 각 증권사별로 매매 수수료와 보관수수료가 조금씩 다르답니다. "나는 단타매매로 금투자에 접근하겠다."하고 생각하신 분들은 매매수수료가 가장 싼 미래에셋에서 전용계좌를 만들어서 투자를 진행하는 것이 가장 유리해 보이고요. "나는 장기투자로 접근하겠다."라고 생각하신 분들은 보관수수료가 없는 증권사 중에서 매매수수료가 가장 싼 NH투자증권이나 유안타증권이 유리해 보이네요. 개미들의 무덤인 키움증권은 매매수수료도 가장 비싸고, 보관수수료까지 받네요. 역시 개미들의 무덤답습니다. 그리고 이런 수수료는 엿장수인 증권사 마음대로이니 언제든 바뀔 수 있답니다. 그래서 종종 확인해보는 습관을 들일 필요가 있지요.
이제 금현물계좌를 만드는 방법을 알려드릴게요. 저는 장기적인 호흡으로 금투자를 진행할 계획이기 때문에 NH투자증권을 선택했는데요. 다른 증권사들도 거의 비슷한 과정으로 계좌를 만들 수 있으니 참고해주세요. 아! 그리고 NH투자증권은 증권사에서 직접 대면으로 만든 계좌만 금현물계좌로 전환이 가능하니 비대면 계좌만 있으신 분들은 다른 증권사를 이용하거나, 직접 증권사에 한 번 다녀오셔야 해요. 전 예전에 대면으로 만들어 놓은 계좌가 있어서 HTS에서 바로 진행하도록 할게요.
※ NH투자증권과 매매수수료와 보관수수료가 똑같은 유안타 증권은 비대면으로 바로 계좌가 개설 가능하니 참고해주세요. 어차피 계좌를 개설하는 방법은 다 거기서 거기이니깐요.

NH투자증권 HTS 외쪽 상단에서 돋보기 모양을 클릭해주세요.

그리고 "금 현물"을 검색해주세요. 그러면 화면번호 "8998" 금 현물계좌 전환 메뉴가 보이실 거예요. 클릭해주세요.

그리고 신청하기 버튼을 눌러주세요.

그리고 비밀번호를 입력해주시고, 동의 탭을 클릭해주세요. 그러면 이제 기존에 있던 증권계좌가 금현물 계좌로 바뀌게 된답니다.

이제 금현물을 주문하는 방법을 알려드릴게요. 화면 검색에서 "금현물"이라고 검색해주세요. 그러면 화면번호 "9027"금현물 주문 메뉴가 나타나는데요. 이 메뉴를 클릭해주세요.

금현물 주문에는 두 가지 주문 방법이 있는데요. 1kg짜리 골드바 종목을 주문하는 방법과 100g짜리 골드바 종목을 주문하는 방법이에요. 내가 1kg짜리 골드바 종목을 선택했다면 내가 보유한 금이 1kg이 돼야 실물로 인출할 수 있다는 의미이고, 100g짜리 종목을 선택했다면 금이 100g이 돼야 실물로 인출할 수 있다는 의미예요.
"1kg이면 7000만 원이 넘는데 언제 내가 1kg을 모으겠어? 현실적인 100g짜리 종목에 투자를 해야지."
라고 생각하실 수 있는데요. 실물로 인출하실건가요? 그런 것이 아니라면 그냥 1kg 종목으로 주문을 해주세요. 거래량은 1kg이 훨씬 많아서 빠르게 거래가 되니깐요.
1kg짜리 골드바 종목으로 주문을 하려면 금현물 주문 화면 왼쪽 상단의 돋보기 모양을 클릭 후 금99.99k를 선택해주세요. 그리고 매수 수량을 넣고, 매수단가를 넣고 매수실행 버튼을 누르면 끝이랍니다. 매수 수량 단위는 1g씩 가능하니 최소 투자금액은 약 7만 3천 원쯤 되겠네요. 이렇게 1g을 사면 한국예탁결제원에 있는 금의 1g이 내 소유가 되는 것이죠. 물론 실물 인출은 1kg이 돼야 가능하긴 하지만요.
오늘은 이렇게 다양한 금 투자 방법을 알아보고, 그중에서 KRX 금 현물 투자에 대해서 더욱 자세하게 알아보았는데요. 금 현물 계좌를 개설하는 방법을 알려드리면서 대면계좌가 있어야만 가능한 NH투자증권의 방법을 알려드린 것이 조금 마음에 걸리긴 하네요. 처음부터 끝까지 온라인 비대면으로 KRX금현물 계좌 개설이 가능한 유안타 증권으로 알려드렸어야 했는데, 더 이상 화면 캡처를 할 힘이 남아있지 않아서 죄송합니다. 유안타 애플리케이션에서 손 쉬게 가능하니 제가 알려드리지 않아도 잘하실 수 있으리라 믿을게요.
다음에는 더욱 유용한 정보로 찾아뵙도록 할게요. 이상 시골 섬에 살고 있는 시골썸이었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