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이야기/국내주식

코스피 코스닥 차이 알아보기

by 시골썸 2020. 8. 8.

 

안녕하세요. 시골 섬에 살고 있는 시골썸이라고 합니다. 오늘은 코스피와 코스닥의 차이점에 대해서 알아보는 시간을 갖도록 할게요.

 

※ 바쁘신 분들을 위한 코스피와 코스닥 시장의 차이점 한 줄 요약 : 코스피는 1부 리그, 코스닥은 2부 리그! 단, 용두사미 법칙 적용되어 코스피 하위권보다는 코스닥 상위권이 훨씬 우량함.

 

목차

     

    1. 유가증권시장(KOSPI Market)

     가. 코스피 시장 개요

    KOSPI 시장은 Korea Composite Stock Price Index Market의 약자로서 다른 말로는 유가증권시장이라고도 불러요. 이 코스피 시장을 한마디로 정의해보면 "기업들의 주식을 누구나 쉽게 사고팔 수 있도록  한국거래소에서 만들어 놓은 증권시장"이라고 정의할 수 있어요.

     

    물론 기업들이 자신의 주식을 코스피 시장에서 누구나 사고팔게 할 수 있으려면 엄격한 심사를 거쳐서 코스피 시장에 상장된 경우에만 가능해요. 기업 입장에서는 코스피 시장에 상장만 되면 주식 발행을 통해서 많은 투자금을 얻을 수 있기에 코스피 상장은 국내에서 사업을 영위하는 모든 기업 들의 꿈이기도 하죠. 코스피 시장은 우리나라 증권시장 중에서 가장 큰 시장이니깐요.

     

    이런 코스피 시장은 1956년에 개장했으며 개장 이래 삼성전자, SK하이닉스, LG화학, NAVER, 삼성 바이오로직스 등의 세계적인 기업들이 상장되어있어요.

     

     

    2020년 8월 7일 종가 기준

    그리고 코스피에 상장된 전체 기업의 주식을 다 더한 값어치는(상장 시가 총액) 총 1598조 원이나 돼요. 이말은 이론적으로 1598조원이 있다면 한국 코스피 시장에 상장된 모든 기업을 살 수 있다는 말이기도 하죠. 이 금액이 많아 보이시나요? 작아 보이시나요?

     

    저는 개인적으로 너무 작아 보여요. 왜냐면 애플 단일 기업의 시가총액이 2200조 원인데, 우리나라에 있는 주요 기업들을 다 더해도 애플의 값어치만 못하다는 말이니깐요. 그런 의미에서 우리나라 주식시장은 너무 소외받고 있지 않나 싶어요.

     

     

    2020년 8월 7일 종가 기준

    이번에는 코스피에 상장된 기업의 시가총액 순위를 알아볼게요. 시가총액 343조 원으로 삼성전자가 부동의 1위이고, sk하이닉스 59조 원으로 2위, lg화학이 53조 원으로 3위를 차지하고 있고, 4위는 51조 원으로 네이버가 차지하고 있네요.

     

    2위부터는 시가총액이 고만고만한데, 1위인 삼성전자의 시가총액은 2위와 넘사벽인 것으로 보아 역시 삼성전자는 대단하고 느껴지네요. 물론 애플의 2200조 원과 비교하면 초라하긴 하지만...

     

    코스피, 코스닥 시총 순위 확인 방법 및 전체 시가총액 확인 방법이 궁금하다면? 클릭해주세요.

     

    코스피, 코스닥 시총순위 확인 방법(전체 시가총액 확인 방법)

    코스피, 코스닥 시총순위 확인 방법(전체 시가총액 확인 방법) 안녕하세요. 저 남쪽끝 시골섬에서 살고있는 시골썸입니다. 오늘은 코스피와 코스닥의 시총순위 확인하는 방법과, 코스피와

    countrysome.tistory.com

     

     나. 코스피 지수 산출 방법

    코스피 지수는 1980년 1월 4일에 코스피 시장에 상장된 모든 기업의 시가총액을 100이라고 기준점을 잡아놓고, 지금의 시가총액이 기준점에 비해서 얼마나 변했는지를 나타내는 지수예요.

     

    산출식은 다음과 같고요. 지금의 코스피 지수가 2200 정도 되니깐, 1980년 1월 4일에 비해서 주가가 22배 정도 상승했다고 생각하시면 될 것 같아요. 40년 동안 22 배면 괜찮은 투자인가요?

     

     

     다. 코스피 시장의 역사

      1)1956년 증권시장 개설 - 처음 상장된 회사 12개사

      2)1988년 전산매매 도입 시작1977년 9월 전 종목 전산 시스템 도입

      3)1979년 유가증권시장 본부를 현재의 여의도로 이전

      4)1992년 외국인에게 증권시장 개방

      5) 1996년 주가지수 선물 시장 도입  

      6) 1997년 주가지수 옵션 시장 도입

     

    ※ 코스피 선물 시장이 궁금하다면? 클릭해주세요!

     

    코스피 200 선물거래란?

    코스피 200 선물거래란? 안녕하세요. 시골섬에 살고 있는 시골썸입니다. 저는 지난 시간에 아래와 같이 코덱스(KODEX) 인버스와, 코덱스 인버스 2x에 관한 글을 썼었는데요. [경제 이야기/주식&펀��

    countrysome.tistory.com

     

    2. 코스닥 시장

     가. 코스닥 시장 개요

    코스닥 시장은 중소기업이나 벤처기업들에게 투자금 지원을 목적으로 설립된 증권시장이에요. 예전에는 IT 하드웨어 기업 위주였다면, 요즘에는 IT 소프트웨어 기업, 바이오 기업, 게임, 엔터테인먼트 등과 같은 업종의 비중이 점차 늘고 있는 추세예요.

     

    코스닥 시장의 상장 요건은 코스피보다 까다롭지 않아서, 중소기업들이 코스피에 비해서 비교적 쉽게 상장을 진행하지만, 투자자 입장에서는 그만큼 위험성이 도사리고 있는 시장이기도 해요. 쉽게 상장된 만큼 쉽게 상장폐지가 될 수도 있으니깐요.

     

     

    2020년 8월 7일 종가 기준

    코스닥의 전체 시가총액은 320조 원이에요. 삼성전자의 시가 총액이 342조 원 임을 감안했을 때 굉장히 작은 규모의 시장임을 알 수 있어요. 그래서 저는 코스닥에 상장된 회사 중에서 시가총액이 작은 회사(100억 밑)는 투자의 대상으로 고려하지 않아요. 위험하니깐요.

     

     

    2020년 8월 7일 종가 기준

    다만 코스닥에 상장된 상위권 기업들은 굉장히 유명하고, 유망하기도 해요. 코스피에 상장된 하위권 기업보다는 훨씬 낫다고 볼 수 있죠. 코스닥 시가총액 1위 기업은 16조 원으로 셀트리온 헬스케어가 차지하고 있고, 최근 코로나 19로 인해 진단키트에서 대박을 친 씨젠의 주가가 무섭게 상승해서 시가총액 8조 원으로 2위를 차지하고 있어요. 나머지 기업들은 위의 사진을 참고해주세요!

     

     

     나. 코스닥 지수 산출 방법

    코스닥 지수의 산출 방법은 코스피 지수의 산출 방법과 원리는 똑같은데요. 다만 기준일과 기준 지수만 다를 뿐이에요. 코스닥 지수의 기준 시점은 1996년 7월 1일의 코스닥 전체 시가총액이고, 그때의 기준 지수를 1000이라고 한다는 점만 다르죠.

     

    그래서 산출식은 다음과 같은데, 지금 코스닥 지수가 850대 이니깐 24년 동안 -15%의 성장을 했다는 말이 돼요. 우리나라 코스닥 시장은 미국의 나스닥 시장을 따라 해서 만든 것인데, 나스닥은 매년 하늘을 날고 있는 것과는 비교되네요. 물론 코스닥에서 덩치가 커진 기업들은 코스피 시장으로 이사를 가는 경우가 많아서 전체적인 코스닥 지수가 힘을 못쓰는 점도 있긴 해요. 그렇다고 코스피가 하늘을 나는 것도 아닌 점을 봤을 때 전체적으로 성장 동력이 없는 우리나라의 주식시장이 안타깝다 생각되는 것은 어쩔 수 없네요.

     

     다. 코스닥 시장 역사

      1) 1996년 7월 1일 개설

      2) 2004년 1월 26일 코스닥 지수 기준 단위를 100에서 1000으로 변경

      3) 2005년 1월 26일부터 코스닥 시장에서 거래되는 기업들에 대해 협회 등록법인이라는 명칭에서 코스닥 상장법인으로 명칭 변경

     

    오늘은 이렇게 코스피와 코스닥의 차이점을 알아보았는데요. 다음에는 더욱 유용한 정보로 찾아뵙도록 할게요.

    반응형

     같이보면 가치있는 콘텐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