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이야기/해외주식

스킬즈 Skillz 주식 분석(SKLZ)

by 시골썸 2021. 4. 17.

 

최근에 스킬즈 주식은 바닥을 뚫고 저 지하 깊숙한 곳까지 내려가고 있다. 그래서 오늘은 이 스킬즈 주식이 이렇게 바닥을 뚫고 자꾸만 지하로 내려가는 이유가 무엇인지를 분석하고, 향후 전망을 예측해보고자 한다. 물론 필자의 개인적인 주관이 엄청나게 들어간 분석이므로 본 포스팅을 맹신하고 투자를 진행하면 안 되겠다.

 

0

 

목차

     

    1. 하락의 이유

     가. 공매도

    1
    2021. 4. 16 기준 / 출처: shortsqueeze

    지금 현재 스킬즈 주식의 Short Percent of Float(전체 유통주식 대비 공매도 비율)는 16.8%이다. 그리고 공매도 세력들이 공매도 물량을 전부 청산하려면 걸리는 시간인 Short Interest Ratio(공매도 물량/하루 평균 거래량)는 3.2일이다.

     

    이는 공매도 세력들이 주식을 빌려서 미치도록 팔고 있으므로 주식이 올라가려야 올라갈 수 없는 상황으로 해석할 수 있다.

     

    또한 하루 거래량 대비 공매도 수량을 보면 더욱 심각하다.

    2
    출처: nakedshortreport

    스킬즈 주식의 하루 거래량 대비 공매도 수량은 지금 50~60%를 왔다 갔다 하고 있다. 이는 하루에 거래되는 주식의 절반 이상은 공매도 세력의 주식 매도에 의해서 이뤄지고 있다는 말이다.

     

    이런 공매도 세력의 공격은 지난 3월 8일에 발표된 Wolfpack research라는 공매도 전문 업체의 보고서로부터 시작되었다. Wolfpack research는 중국 드론 스타트업 기업인 이항을 나락으로 떨어뜨렸던 업체이다.

     

    Wolfpack research의 공매도 보고서를 요약해보자면

     

    "매출의 88%가 게임 3개에서만 나오고 있다. 2020년 4분기 실적이 좋지 않을 것이다. 스킬즈 앱 설치율이 떨어지고 있다. NFL과 파트너십은 뻥이다."

     

    로 요약할 수 있겠다.

     

    SKILLZ 공매도 보고서.pdf
    1.03MB

    자세한 내용을 알고 싶다면 클릭 후 다운 받아 읽어보길 바란다,.

     

     

    매출의 대부분이 상위 인기 게임에 편중되어 있다는 것은 사실이고, 아래의 그래프에서 보다시피 스킬즈 앱 설치율이 떨어지고 있다는 것도 사실이다. 물론 2021년 1분기의 마이너스 성장률은 Wolfpack research의 주장일 뿐이긴 하다.

     

    3
    출처:  Wolfpack research 공매도 보고서

    하지만 공매도 보고서가 나온 이후에 2020년 4분기 실적발표가 나왔는데, 매출이 매우 많이 성장을 해서, 한 때 주가가 급등하기도 했었다. 물론 NFL과의 파트너십은 여러 기사를 보면 기정사실이긴 하지만 정확한 결과물은 나오지 않았으니 지켜봐야 할 듯싶다.

     

    필자는 개인적으로 공매도 보고서보다 스킬즈 기업의 펀더멘털을 더 믿고 있다. 하지만 판단은 개인의 몫!

     

     나. 유상증자

    스펙 상장 후  3200만 주의 유상증자를 실시했다. 이는 이번에 투자금 확보라는 호재보다는 기존 주주들의 주가 희석이라는 악재로 작용을 해서 주가가 하락하는데 영향을 미쳤다.

     

     다. 미국 10년 채 금리 인상

    지난 3월 달에 미국 국채 금리 인상의 우려로 성장주들의 주가가 곤두박질을 쳤었다. 경제의 거시적 관점에서 보면 금리가 올라가면 성장주의 주가는 내려가는 것은 당연하다.

     

    물론 단순하게 '성장주들은 대출이 많을 것이고 금리가 올라가면 대출이자를 갚는데 돈이 많이 들어서 기업이 힘들어지겠지?'라고 생각할 수도 있겠지만 이는 반은 맞고 반은 틀린 이야기이다. 왜냐하면 밑에서 스킬즈 주식 분석에서 설명하겠지만 스킬즈는 대출이 거의 없는 기업임에도 국채 금리 인상의 우려로 주가가 곤두박질쳤기 때문이다.

     

    이는 우리가 보통 기업의 현재 가치를 판단할 때 기업이 미래에 벌어들일 수익을 예상하고 현재의 금리로 기업의 미래 가치를 할인해서 판단을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금리가 올라가면 할인율을 크게 잡아야 하기 때문에 현재 기업의 가치는 내려가게 된다. 

     

    예를 들어 2021년 지금 현재의 순이익은 마이너스이지만 2031년쯤에는 100이라는 수익을 벌어들일 것이라고 예상되는 기업이 있다고 해보자. 그런데 현재의 금리가 1%라면 1%*10년을 해서 10%의 할인율을 적용해 90이라는 현재의 기업가치를 매겨준다.

     

    그런데 만약 금리가 2%로 오른다면 2%*10년을 해서 20%의 할인율을 적용해 80이라는 수치로 기업의 가치를 매기게 되는 것이다. (물론 이해를 돕기 위해서 아주 단순하게 계산했을 뿐 실제 계산은 훨씬 복잡하다.) 따라서 고성장이 예상되는 기업일수록 금리가 올라가면 이런 할인율을 크게 적용받게 되어 현재의 주가가 내려가게 되는 것이다.

     

     

    2. 스킬즈(Skillz) 기업 분석

    우리는 이제 스킬즈(티커: sklz) 기업 분석을 통해 공매도 업체의 말이 사실인지 아닌지만 판단을 하면 되겠다. Wolfpack research의 말이 사실이라면 주식을 팔면 되겠고, 사실이 아니라면 겁먹지 말고 주식을 매수하면 될 것이다.

     

     가. 수익모델

    4

    전통적인 게임의 수익모델은 게임 안에 광고를 붙이거나, 게임 안에서 아이템 등의 결제를 유도하는 방식이었다. 하지만 스킬즈(티커: SKLZ)는 게이머들이 참가비를 내고 토너먼트를 진행해 우승자는 패자들의 참가비를 모아 상금을 받고, 게임 개발업체와 스킬즈는 참가비에서 수수료를 받는 수익모델을 가지고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한 게임에 참여하기 위해서는 한 사람당 0.6달러의 입장료가 필요하다. 그러면 1.2달러가 모이는데, 이중 1.02달러는 게임의 상금과 게임 개발자들에게 분배가 되고, 1.2달러의 14.6%인 0.18달러를 스킬즈가 가져가게 된다. 이 0.18달러가 스킬즈의 매출로 잡히게 되는데 이 중에서 매출원가와, 운영비용을 빼면 0.04달러가 스킬즈의 수익으로 잡히게 된다.

     

    실로 신박한 수익모델이 아닐 수 없다. 물론 우리나라에서는 규제로 인해서 허가가 안 날 것이 분명하다. 하지만 이미 미국은 41개 주에서 허용되고 있다고 한다.

     

    손 안 대고 코를 푸는 수익 모델이고, 대단한 기술이 필요한 플랫폼이 아니라서 진입장벽이 낮아 경쟁자가 우후죽순 생길 수 있다는 위험요소가 있긴 하다.

     

    하지만 실력이 대등한 플레이어들끼리 매칭을 적절하게 해주는 기술과, 핵과 같은 게임 내 불법 프로그램을 막아주는 기술력은 스킬즈가 최고라고 자기들이 주장을 하고 있긴 하다.

     

    그리고 그렇게 따지면 카카오톡 같은 메신저가 대단한 기술이 필요한 것은 아니지만 플랫폼을 선점했다는 것 만으로 시장을 장악하고 있으니, 스킬즈의 경제적 해자(진입장벽)가 꼭 낮다고만은 볼 수는 없겠다.

     

     나. Income Statement

    5
    단위: 천 달러

    매출(Revenue)은 2018년 5077만 달러→2019년 1억 1987만 달러(전년 대비 136% 성장)→2020년 2억 3011만 달러(전년 대비 92% 성장)로 매년 엄청난 성장세를 보여주고 있다.

     

    다만 아직은 순수익(Net Income)은 내지 못하고 있다. 이는 매출의 100%가 넘는 광고비용(Selling&Marketing Expense)의 지출 때문인데, 플랫폼 기업의 특성상 초기 사용자를 유치하기 위함으로 보인다. 그리고 바꿔 말하면 광고비용을 줄이면 바로 흑자 전환이 가능한 기업이라고 말할 수도 있다.

     

    그리고 매출 대비 18%의 일반관리비(General&Administrative Expense)는 적절해 보인다.

     

    그리고 연구개발비(R&D)는 매출의 10% 수준을 지출하고 있는데, 대단한 기술이 필요한 플랫폼은 아니라서 연구 개발비는 별로 집행하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물론 본인들 말로는 토너먼트 관련 특허를 여럿 가지고 있다고 한다.

     

     다. Balance Sheet

    6

    스킬즈의 재무구조는 매우 탄탄하다. 1년 내 현금화할 수 있는 자산의 비율인 유동비율은(Current Assers/Current Liabilities) 577%로서 엄청난 유동성을 자랑하고 있다. 또한 부채비율은(Total Liabilities/Stockholders Equity) 20%로서 너무나 건강한 지표를 보여주고 있다.

     

    물론 이는 지속적인 유상증자를 통해 자기 자본(Stockholders Equity)을 확보를 했기 때문인데, 필자는 스킬즈 주주의 입장으로서 더 이상의 유상증자는 하지 않았으면 하는 바람이다. 나의 주식의 더이상 희석되는 것을 원치 않는다. 회사에 이미 돈도 넘치니 말이다.

     

     

    3. 스킬즈(Skillz) 주가 전망 

     가. 게임산업 시장 규모

    7

    영화 시장은 160억 달러, 음악 시장은 400억 달러, 책 시장은 1230억 달러인데, 게이밍 시장은 1750억 달러이다. 이 중에서 스킬즈가 타깃으로 하고 있는 모바일 게임 시장은 860억 달러의 시장이다. 그리고 해년마다 엄청난 성장을 하고 있는 시장이기도 하다.

     

     나. 컨센서스 예측

    8
    출처: Yahoo finance

    야후 파이낸스의 애널리스트 5명은 2021년 매출은 3억 6957만 달러(전년 대비 60% 성장), 2022년 매출은 5억 7051 달러(전년대비 54% 성장)로 예측하고 있다.

     

    매출이 예상대로 나오면 RPS(주당 순매출=매출/주식수)는 0.93달러이고, 지금의 PSR(시가총액/매출)인 20의 멀티플이 유지된다고 가정하면 2021년 목표주가는 0.93달러*20=18.6달러를 목표주가로 계산할 수 있겠다. 물론 폭락 전 RPS인 30의 멀티플로 계산을 하면 27.9달러를 2021년 목표주가로 산정할 수도 있겠다. 

     

    아무튼 2021년 예상 RPS는 0.93달러이니, 각자 합당한 PSR멀티플을 곱해서 목표주가를 산정해 보길 바라겠다. 물론 예상 RPS가 맞는다는 보장도 없고, PSR멀티플도 투자자가 마음대로 주는 것이니 의미 없는 계산이라 생각하는 분들도 있을 것이다.

     

    그럼에도 필자는 자신만의 기준을 만들어 수치화된 데이터를 도출해 투자를 하는 것을 추천한다. 그렇지 않으면 그저 감으로 하는 기준 없는 중구난방의 투자가 되기 십상이고, 하락장에서 견뎌낼 수 있는 힘인 기업에 대한 확신을 가질 수 없기 때문이다.

     

    9
    출처: Finbox

    마지막으로 핀박스는 스킬즈(sklz)의 매출 성장률을 위와 같이 예상하고 있다. 핀박스의 예측이 맞아 실제로 2030년에 매출이 40억 달러가 넘는다면 RPS는 101달러가 되므로 지금의 PSR인 20의 멀티플만 줘도 스킬즈의 주가는 200달러를 넘을 것이다. 물론 스킬즈의 폭락 전 주가를 기준으로 PSR 30의 멀티플을 준다면 300달러도 충분히 넘을 수 있다는 행복 회로를 잠깐 돌려볼 수도 있겠다.

     

    아무튼 결론을 내려보자면 단기적인 하락은 얼마든지 더 올 수 있다. 하지만 필자는 10년 후 주가를 최소 지금의 10배 이상을 목표로 장기투자를 할 것이다. 다만 고위험의 성장주이기 때문에 전체 포트폴리오의 2% 정도의 비중으로만 가지고 갈 것이다.

     

    그런데 혹시나 2%가 적다고 생각할 수도 있겠다. 하지만 2%씩 고성장주 10개만 포트폴리오에 넣으면 전체의 20%이다. 이 중에서 3개는 나가리 된다고 생각하고 7개가 10년 후 10배가 된다면 결고 적은 비중의 투자는 아니라고 생각한다. 10년 후에는 지금 포트폴리오 기준으로는 140%의 비중으로 불어나 있을 테니 말이다.

     

    분산투자, 장기투자, 나만의 투자 기준이 있는 투자를 했으면 좋겠다. 

     

    이상 스킬즈(sklz) 주식 분석글 이었습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

     같이보면 가치있는 콘텐츠

    댓글